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목표주가

CJ ENM 목표 주가 25만원 전망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강력한 티빙 모멘텀

by 반딧st 2021. 10. 9.

 

CJ ENM 목표 주가 상향

사측의 보수적인 이익 가이던스(3,000억원)에도 업황을 감안하면 연간 3,500억원의 이익 달성도 전혀 무리가 없어 보이며 SM인수설 외에도 언론을 통해 티빙이 더 많은 오리지널 컨텐츠 투자를 위한 SI/FI 투자자를 찾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글로벌로 확산되고 있는 K-콘텐츠의 가장 강력한 연합을 캡티브로 보유한 OTT의 가치가 높아질 수 밖에 없으며, 최소 2조원 수준의 가치를 예상하고 있다. 실적 추정 상향을 반영해 SOTP 기반의 목표주가 250,000원(+4%) 상향하며 투자의견 BUY로 유지한다.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 이기훈

 

3분기 영업 매출액 컨센서스 상회

3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8,642억원(+8% YoY)/851억 원(+20%)으로 컨센서스(718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부문별 영업이익은 미디어가 TV/디지털의 기저효과 및 티빙 유료가입자 확대로 각각 10%/65% 폭증하면서 528억원(+80%)이 예상된다.

 

티빙 예상 가입자는 3분기 말 기준 180만명으로 가이던스인 연내 200만명을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커머스는 부진이 지속되면서 305억원(-28%), 영화는 박스오피스 매출 부진으로 -49억원, 음악은 오디션 원가 선반영 및 JO1 등의 컴백으로 67억원(+90%)을 예상한다.

 

티빙의 가치 최소 2조원 가능하다

티빙의 유료 가입자는 2020년 기준 약 70만명, 상반기 130만명, 그리고 3분기 180만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네이버 멤버쉽이라는 강력한 캡티브와 유로 2020이나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역대급 성과가 이어지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티빙 가입자 가이던스인 올해 200만명은 매우 충분해 보이며, 2022년말 기준으로는 400~500만명으로 ARPU 7,000원 가정시 2023년 티빙 매출액은 3,0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다. 산업(혹은 웨이브 등)의 밸류에이션 기반 인 PSR 기준 8~10배 적용시 최소 2조원 이상은 가능하다. 네이버(웹툰 및 멤버쉽)-CJ/JTBC(채널 및 제작사)의 티빙 연합이 최소 2년내 웨이브의 가입자를 따라 잡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