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목표주가

삼성에스디아이 SDI 주가 전망 108만원 목표주가 전기차 배터리 매출 성장세 회복 및 마진 개선

by 반딧st 2022. 3. 30.

삼성에스디아이 SDI 주가 전망 108만원 목표주가

삼성에스디아이 SDI 목표 주가 전망

향후 반도체 공급 부족 해소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매출 성장세 회복 및 전기차 배터리 마진 개선, 미국 BBB 법안 통과 여부가 주가 상승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현재 2023년 실적 기준 10배로, 경쟁사 대비 1/2 수준에 불과하다. 현 가격 수준 감안할 때, 향후 반도체 및 미국 정책 변수가 긍정적으로 전개될 경우 주가 상승 강도는 셀 메이커 중 가장 강할 것으로 판단하며 목표주가 108만원 투자의견 Buy 유지한다.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 김현수

 

1Q22 Preview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성장

1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 3.9조원(YoY +31%, QoQ +2%), 영업이익 2,836억원(YoY +113%, QoQ +7%)로 기존 추정치를 유지한다. 반도체 공급 부족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출하 감소 우려 있었으나 기존의 보수적 전망 대비 크게 악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응형

 

1) 중대형전지(매출 비중 46%)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 성장 지속되며 부문 매출 YoY +35%, QoQ +2% 증가 전망된다. 다만,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전기차 생산 차질로 인해 배터리 출하 증가율이 예상보다 정체되는 상황 속에서 증설 라인 가동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부담으로 부문 수익성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인 한자릿수 초반 % 영업이익률에 머물 전망이다. 2) 소형전지(매출 비중 37%)는 전동 공구 수요 강세 및 전기차 향 원형전지 매출 증가 지속되며 부문 매출 YoY +32%, QoQ +4% 증가 전망된다. 3) 전자재료(매출 비중 18%) 역시 하이엔드 TV 및 모바일 향 편광필름 매출 증가 지속되며 부문 매출 YoY +30% 증가 전망되나, OLED 소재 비수기 진입하며 전분기 대비해서는 매출 -2% 감소 전망한다. 

 

2022년 전기차 관련 매출 7조원 전망

현재 전기차 배터리 계약 구조는 니켈, 리튬 등 주요 광물 자원 가격 상승을 자동차 OEM 고객사로부터 보전받는 구조다. 최근의 원자재 가격 상승 리스크로 인한 수익성 훼손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한다. 다만,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는 지속해서 수익성 개선 속도를 제한하는 요소다. 상기한 반도체 공급 부족 및 미국 시장 개화 속도 지연 반영한 2022년 예상 실적은 매출 17.1조원(YoY +26%), 영업이익 1.6조원(YoY +48%), 지배순이익 1.5조원(YoY +27%)이다. 전기차 배터리 및 ESS 수익성 개선, 원형 전지 고부가 제품 mix 개선 영향으로 전사 마진 상승하며 이익 레버리지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원형전지 전기차 배터리 포함한 전사 전기차 배터리 실적은 2022년 매출 7.1조원, 영업이익 3,600억원으로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 본격화될 전망이다.

 

일목균형표 지표를 이용한 승률 92% 매매기법이라?! 난! 무,쬬,건... 롱만 볼거야^^ 비트코인 주식단타 해외선물

 

 

반응형

댓글